글로벌 증시 조정 속 코스닥, 최고 수익률 기록

2025년 4월 기준, 코스닥지수는 주요국 증시 중 가장 높은 11.30%의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같은 기간 코스피는 8.41% 상승하며 상위권에 올랐고, 나스닥과 S&P500은 각각 -7.32%, -5.47%로 하락했습니다. 코스닥의 강세 배경에는 개인 투자자의 매수세와 제약·바이오주 상승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외국인의 코스피 매도와 달리 코스닥 매도는 제한적이었으며, 신라젠 등 주요 종목은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한국거래소 통계에 따르면 코스닥은 이번 조정 국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코스닥 상승률을 표현한 이미지




코스닥, 글로벌 증시 조정 속 주요국 중 최고 수익률

2025년 4월 기준, 코스닥지수가 주요국 증시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4월 10일부터 22일까지 약 2주간 코스닥지수는 11.30% 상승했습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도 8.41% 상승해 주요국 중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반면 미국 나스닥종합지수는 -7.32%, S&P500은 -5.47%로 하락하며, 국내 증시와는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유럽 주요국 중에서는 이탈리아 FTSEMIB가 9.83%, 독일 DAX30이 8.25%, 프랑스 CAC40이 7.34% 상승해 비교적 양호한 흐름을 나타냈습니다. 아시아 증시에서는 일본 닛케이225가 7.90%, 대만 TAIEX가 8.06% 상승했으며,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3.53% 상승에 그쳤습니다. 이 같은 성과는 코스닥의 상대적 탄력성과 개인 투자자 중심의 매수세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됩니다.


상승 배경에 개인 투자 중심의 코스닥 수급 구조  

이번 상승장에서 코스닥지수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인 배경에는 외국인 매도세를 피한 점과 개인 투자자 중심의 수급 구조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4월 3일부터 22일까지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총 9조1825억 원어치를 순매도했으나, 같은 기간 코스닥 시장에서는 6951억 원 수준의 순매도에 그쳤습니다. 반면 개인 투자자는 코스닥에서 4468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코스닥은 코스피 대비 외국인 비중이 낮고, 개인 투자자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시장 외부 변수에 대한 민감도가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관세 정책과 같은 대외 변수에 취약한 수출 중심 대형주가 많은 코스피와 달리, 코스닥은 내수 기반의 제약·바이오 종목 중심으로 구성돼 있어 투자자들의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풀이됩니다.


제약·바이오 중심 코스닥 상승세, 종목별 강세 뚜렷

코스닥 시장의 상승세는 단순한 수급 요인 외에도 업종별 흐름에서 확인되고 있습니다. 특히 시가총액 상위에 포진한 제약·바이오주들의 강세가 코스닥지수를 견인한 주요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관세 정책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업종인 만큼, 투자자들은 무역 불확실성 회피와 동시에 성장 기대감이 높은 종목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대표적으로 네이처셀, 신라젠 등 주요 바이오 종목들은 전날 상한가를 기록하며 시장 전반의 상승 분위기를 이끌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관세 이슈와 글로벌 증시 변동성에 민감한 수출 관련 업종보다 내수 기반 성장주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코스닥의 구조적 특성과 업종별 분산 투자 효과가 부각되면서, 당분간은 중소형 성장주 중심의 시장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최근 글로벌 증시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 영향으로 전반적인 조정을 겪는 가운데, 코스닥지수는 주요국 증시 대비 가장 높은 11.3%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차별화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이는 외국인 매도세가 집중된 코스피와 달리, 코스닥은 개인 투자자 중심의 수급 구조와 바이오주 강세에 힘입은 결과로 분석됩니다. 관세 영향이 제한적인 업종의 상대적 강세와 외국인 비중이 낮은 시장 구조가 방어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향후에도 코스닥 시장은 글로벌 변수에 대한 민감도보다는 내부 수급과 업종 모멘텀에 따라 독자적인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인덕원 조정 후 반등과 의왕 내손·포일동 매수 문의 급증

17개월 만에 공매도 재개와 변동성 커지는 시장, 개인의 투자 전략은?

면세점도 예외 없는 명품 화장품 가격 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