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차 시장 성수기에도 일부 SUV와 수입차 시세 하락
2025년 4월, 중고차 거래 성수기를 맞아 전체 평균 시세는 약보합세를 보였지만, 일부 국산 SUV와 수입 세단 중심으로 뚜렷한 하락세가 관측되고 있습니다. 2022년식 카니발과 싼타페 등 RV 모델은 1% 이상 하락했으며, 벤츠 C200과 아우디 A4 등 일부 독일차도 2% 이상 시세가 조정되었습니다.
중고차 시세 전반적 하락 양상
2025년 4월, 중고차 시장은 전반적으로 약보합세를 보이며 일부 인기 모델의 시세 하락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엔카닷컴이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국산 및 수입차의 전체 평균 시세는 전월 대비 0.52% 하락해 전반적인 가격 변동은 크지 않았으나, 일부 모델에서는 뚜렷한 하락세가 확인됐습니다. 특히 국산차의 경우 평균 0.63% 하락한 가운데, 기아 카니발 4세대 9인승 프레스티지가 1.57% 하락했으며, 현대 더 뉴 싼타페 2.2 2WD 프레스티지도 1.00% 하락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 외에도 쏘렌토 하이브리드, 기아 K8 등의 RV 및 대형 세단도 평균보다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현재 중고차 거래는 봄철 성수기에 접어들며 거래량이 증가하는 추세지만, 가격 하락세를 보이는 SUV 및 RV 모델이 있어, 실수요자 중심의 선택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나들이와 패밀리용 차량 수요가 높은 4월을 고려하면, 시세 하락폭이 두드러진 일부 모델은 가격 경쟁력 면에서 매력적인 조건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국산 인기 모델 중심의 중고차 시세 변화
2025년 4월 기준, 중고차 시장에서는 일부 국산 모델의 시세 하락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기아 카니발과 현대 싼타페 등 패밀리카 수요가 높은 SUV·RV 모델들이 전월 대비 눈에 띄는 하락폭을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아 카니발 4세대 9인승 프레스티지 모델은 1.57% 하락했으며, 현대 더 뉴 싼타페 2.2 2WD 프레스티지 역시 1.00% 시세가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와 함께, 하이브리드 SUV로 수요가 높은 기아 쏘렌토 4세대 HEV 1.6 2WD 그래비티 모델은 1.24% 하락하며 평균보다 높은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한편, 경차 및 소형차 부문에서는 시세 상승세가 일부 확인됐습니다. 현대 캐스퍼 인스퍼레이션 모델은 0.90% 상승하며 두 달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고, 기아 더 뉴 레이 시그니처는 0.05%의 미세한 상승폭을 보였습니다. 이외에도 현대 아반떼(CN7) 1.6 인스퍼레이션은 0.50%, KG모빌리티 베리 뉴 티볼리 1.5 2WD V3는 0.39% 하락으로,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엔카닷컴 측은 “4월 말로 갈수록 시세가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현재 가격이 하락한 국산 SUV·RV 모델은 조건에 따라 실구매자들에게 유리한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수입차 중고 시세 일부 하락
4월 중 수입차 중고차 시세는 전월 대비 평균 0.37% 하락한 가운데, 일부 모델에서는 2%를 웃도는 하락폭이 나타났습니다. 벤츠, 아우디, 폴크스바겐 등 주요 브랜드의 인기 중형 모델들이 눈에 띄게 하락하면서, 중고차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들에게 선택의 폭이 넓어진 상황입니다. 벤츠 C-클래스 W205 C200 AMG 라인은 2.15% 하락했고, 아우디 A4(B9) 40 TFSI 프리미엄은 2.56% 내렸습니다. 폴크스바겐 티구안 2세대 2.0 TDI 프레스티지 역시 2.62% 하락해, 수입 중형 세단과 SUV 모델에서 비교적 큰 시세 조정이 이뤄졌습니다. 이외에도 벤츠 E-클래스 W213 E250 아방가르드는 1.81%, 볼보 XC90 2세대 B6 인스크립션은 1.16% 하락해, 수입차 평균보다 높은 낙폭을 보였습니다. 시세 하락은 일시적인 계절적 요인과 시장의 공급 확대에 따라 발생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엔카닷컴은 최근 중고차 시장에서 거래가 활발해지는 분위기와 함께, 4월 말 이후 시세 반등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중고 수입차를 고려하는 소비자라면, 현재의 가격 흐름을 면밀히 관찰하고 적절한 시점에 진입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종합적으로, 2022년식 카니발과 싼타페 모델의 시세 하락은 현재 중고차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흐름으로 평가됩니다. 본격적인 봄철 거래 성수기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모델들의 시세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일부 소비자들에게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SUV 및 RV 중심의 하락세는 나들이 수요와 실용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현실적인 대안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단기적인 수요 공급 변화와 시세 조정 국면이 맞물린 결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가격 변동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현재와 같은 시장 상황을 신중히 분석하고, 시세 하락 모델 중심의 전략적인 구매 접근이 요구됩니다. 중고차 구매를 계획하고 있다면, 시세 변동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참고하면서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