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 제조업 톱5 진입, 수출성과 분석

2024년 국내 방위산업 상장사 31개사의 매출이 43조1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 증가하며 섬유패션 산업을 처음으로 넘어섰습니다. 같은 기간 방산업계의 영업이익은 철강 산업을 앞지르며 제조업 상위 5개 산업군에 진입했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K-2 전차, K-9 자주포 등 재래식 무기 수출 확대와 80%에 이르는 국산화율에 기반한 공급망 구축에 따른 결과로 분석됩니다. 전자전 장비, 포탄, 엔진 등 다양한 부품 제조업체들도 실적 개선세를 나타냈으며, 일부는 매출이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다만 항공기 분야는 대형 수출 계약 부재로 비교적 정체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K방산, 국내 제조업 ‘톱5’ 진입

2024년 국내 방산 산업은 전년 대비 16%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며, 섬유패션 산업을 처음으로 넘어서는 실적을 보였습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방위산업체로 지정된 31개 상장사의 총 매출은 43조1000억 원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2021년(29조6000억 원) 이후 3년 연속 성장세입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조1132억 원에서 3조6449억 원으로 세 배 이상 증가하면서 철강 산업을 추월하였고, 반도체, 자동차, 휴대폰, 조선에 이어 국내 제조업 상위 5위에 해당하는 산업군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이 같은 성과는 80%에 이르는 높은 국산화율을 바탕으로 구축된 방산 공급망에 기반하고 있으며, 중소·중견 협력업체들까지 낙수효과를 누린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재래식 무기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수출 증가에 힘입은 제조사의 매출 확장은 국내 방산업 전반의 체질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재래식 무기 수출 증가가 이끈 실적 확대

2024년 국내 방산 기업의 실적 성장은 주로 K-2 전차와 K-9 자주포를 중심으로 한 재래식 무기 수출 확대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유럽연합(EU)이 2023년 유럽재래식무기감축조약(CFE) 중단에 나선 이후, 재래식 무기 수요가 증가하면서 한국 방산업계의 수출 기회가 확대된 것입니다. 실제로 K-9 자주포는 지난해 폴란드(3조4300억 원)와 루마니아(1조2420억 원)에 수출됐으며, 2025년에는 폴란드에 추가로 7조840억 원 규모의 수출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K-2 전차 역시 폴란드와 루마니아에 각각 9조 원, 4조5000억 원어치가 수출되었고, 2026년에는 폴란드와 21조1200억 원 규모의 대형 수출 계약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주요 제조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현대로템은 각각 11조2401억 원, 4조3766억 원의 연간 매출을 기록했으며, LIG넥스원은 사상 최대인 3조2763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이처럼 동유럽 및 중동 중심의 수요 증가가 국내 방산업계 매출 확대를 주도하고 있으며, 해당 수출 흐름은 중소 협력업체 매출 증가로도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자전·센서 분야 확장과 항공기 부문의 과제

재래식 무기의 수출 확대는 전통적인 무기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첨단 전자 장비 및 센서 관련 기업의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예를 들어, 지상 무기체계용 컴퓨터 및 K-2·K-21 장갑차에 탑재되는 상황 전시기를 공급하는 코츠테크놀로지는 2024년 매출 650억 원(전년 대비 27% 증가), 영업이익 95억 원(8% 증가)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LIG넥스원으로부터 전자전시스템 장치를 수주한 빅텍은 지난해 매출 715억 원(30% 증가), 영업이익 18억 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센서 전문기업 아이쓰리시스템도 원가 절감을 통한 실적 개선을 이뤘으며, 영업이익은 2023년 122억 원에서 지난해 148억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반면, 항공기 분야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FA-50, KF-21 등 국산 항공기의 수출 확대를 위해 주요국과 협상을 이어가고 있으며, 켄코아에어로스의 매출은 861억 원으로 전년 대비 5% 감소했습니다. 방산업계는 전자전과 센서 분야에서의 성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향후 항공기 부문에서 글로벌 방산 공급망에 진입하기 위한 전략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2024년 국내 방산업계는 K-2 전차, K-9 자주포 등 재래식 무기의 수출 확대에 힘입어 전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국산화율 80%에 달하는 탄탄한 공급망을 기반으로 국내 중소기업까지 낙수효과가 확산되고 있으며, 일부 전자전·센서 기업의 실적도 동반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항공기 부문은 상대적으로 성과가 미흡해, 수출 확대를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방위산업 전반의 성장세는 산업 구조 고도화와 수출 다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국내 제조업 내 위상 변화도 주목되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인덕원 조정 후 반등과 의왕 내손·포일동 매수 문의 급증

17개월 만에 공매도 재개와 변동성 커지는 시장, 개인의 투자 전략은?

면세점도 예외 없는 명품 화장품 가격 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