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가계대출 급등, 주담대 시차 반영
2025년 4월 들어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2조1136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3월 한 달간 증가액을 영업일 10일 만에 초과한 수치로, 향후 주택담보대출 실행 누적분 반영에 따라 추가 확대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특히 신용대출 잔액이 1조 원 이상 증가하며 반등세를 보였고,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확대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서울 및 수도권의 부동산 거래와 미실행 주담대 물량은 향후 통계에 본격 반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에도 가계부채 증가세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4월 가계대출, 10영업일 만에 2조 원 돌파
2025년 4월 들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이 2조1136억 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 3월 한 달간 증가액인 1조7992억 원을 불과 10영업일 만에 초과한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5대 은행의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738조5511억 원에서 740조6647억 원으로 상승했으며, 증가 폭은 올해 2월의 3조930억 원에 육박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가계대출은 지난해 4분기 이후 점진적으로 상승 흐름을 이어왔으나, 1월에는 5000억 원 감소하며 잠시 주춤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2월부터 신학기 이사 수요 등 계절적 요인과 부동산 거래 증가로 인해 다시 증가세로 전환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흐름은 향후 통계에도 반영될 수 있는 누적된 주택담보대출의 실행 건수가 존재하기 때문으로,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증가세의 분수령으로 4월을 지목하며 관련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주담대보다 신용대출이 급증세 주도
4월 들어 가계대출 증가를 이끈 주된 요인은 주택담보대출보다는 신용대출이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은 8987억 원 증가에 그쳤으며, 전체 가계대출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규모입니다. 반면, 5대 은행의 신용대출은 모두 증가세를 기록하며 총 1조 원 이상 확대되었습니다. 지난해 말부터 감소세를 보였던 신용대출은 연말·연초 상여금 상환 종료, 미국의 관세 정책 여파에 따른 증시 변동성 확대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다시 늘어난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주가 하락에 따른 저가 매수 수요가 증가하면서, 개인 투자자들은 4월 1일부터 14일까지 국내 증시에서 5조2360억 원을 순매수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와 같은 동향은 단기적 금융 수요가 신용대출 수요로 이어지고 있으며, 대출 시장의 구성에도 구조적인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금융당국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주택거래 시차 반영, 금융당국 대응 주목
시장에서는 2월 중순부터 3월 하순 사이 급증한 주택 거래와 관련한 주담대 신청 물량이 아직 상당 부분 미실행 상태로 남아 있는 만큼, 4월 하순부터 5월 사이 가계대출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올해 2월 토지거래허가구역 일부 해제 이후 주택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졌고, 이에 따른 담보대출 집행이 1~2개월의 시차를 두고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이러한 시점에서 4월을 가계대출 관리의 분수령으로 보고 있으며, 특히 서울 강남3구 및 수도권 주요 주거지역의 대출 증가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 중입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가계부채 점검회의에서 3월 주택거래가 통계에 반영되는 시점은 4월 이후가 될 것이라며, 향후 대출 증가 흐름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에도 가계대출 확대와 외환시장 변동성이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2025년 4월 들어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2조1136억 원 증가하며, 3월 전체 증가액을 10영업일 만에 초과했습니다. 특히 신용대출이 1조 원 넘게 증가하며 상승세로 전환됐고, 주택담보대출도 아직 미실행된 신청 물량이 상당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금융당국은 강남3구 및 수도권 중심의 대출 추이를 예의주시하며 4월을 가계대출 관리의 분수령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에도 이러한 흐름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당국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시장 반응 간 시차를 고려해 지역별 풍선효과 여부도 집중적으로 점검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