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부채 급증, 연체율 사상 최고인 현재 금융시장 영향은?
내수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자영업자들이 대출 상환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여러 금융기관에서 동시에 대출을 받은 이른바 '다중 채무' 자영업자들이 급증하면서, 연체율 또한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데요. 최근 발표된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저축은행을 비롯한 제2금융권의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10년 만에 최고치 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개인사업자 대출의 연체율은 11.7%에 달하며, 자영업자의 평균 대출 규모도 4억 원을 넘긴 상황 입니다. 이처럼 부채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자영업자들의 재무 건전성은 물론, 금융시장 전반에도 적신호가 켜지고 있습니다.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의 급증 원인 자영업자 대출의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현상은 단순히 경기 둔화 때문만은 아닙니다. 내수 경기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자영업자들은 전반적인 매출 감소와 함께 수익 기반이 약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여러 금융기관에서 자금을 빌려 사업을 유지해온 자영업자들이 점차 상환 부담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특히 여러 금융기관에서 동시에 대출을 받은 '다중 채무자' 비중이 증가 한 점이 위험 요인을 더 키우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저축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11.70%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직전 분기(11.00%) 대비 0.70%포인트 증가한 수치 이며, 2015년 2분기 이후 9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 입니다. 카드사나 캐피탈 등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도 2023년 말 3.67%를 기록 , 2014년 2분기 이후 최고 수준 을 보였습니다. 이처럼 각 업권의 연체율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 자영업자들의 평균 대출액 역시 4억 3천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되고 있습니다. 이는 높은 이자 부담과 함께 상환 지연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전체 자영업 대출자 가운데 56.5%는 다중 채무자 였으며, 이들...